라마캄행 대왕 비문 해설 (1차): 사회제도 관련 내용

2025. 7. 13. 22:00# 태국의 역사/- 수코타이 왕국

수코타이 시대의 공동체와 통치 이념을 읽다


라마캄행 대왕의 비문 해설

요약

라마캄행 비문은 태국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이자, 왕국 운영의 철학과 사회제도 구조를 담은 귀중한 역사 자료이다.
특히 이 비문 속에는 수코타이 왕국이 어떤 통치 체계를 갖고 있었으며,
백성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했는지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번 글에서는 라마캄행 비문의 사회제도 관련 구절들을 분석하여,
당시의 공동체 가치, 법과 행정 체계, 왕의 역할을 세밀히 들여다본다.


1. “물고기 많은 물, 쌀 많은 들판” – 풍요와 자율의 사회

비문의 가장 유명한 구절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이 수코타이 땅에는 물고기 가득한 강, 쌀이 넘치는 들판이 있으며, 백성은 스스로 일을 하고 그 결과를 누린다.”

이 문장은 단순히 풍요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자유로운 생산 활동과 개인의 경제 자립을 인정하는 사회였다는 뜻이다.

  • 농민은 세금을 강제당하지 않고 생산물의 소유권을 가짐
  • 왕은 ‘관리자’로서의 역할 – 직접적인 지배자가 아니라 보호자에 가까운 존재

이러한 구조는 수코타이 초기 왕정의 '덕치(德治)' 이념을 상징한다.


2. “종을 치면 왕이 직접 들어준다” – 수평적 통치 철학

비문에는 또 이런 구절이 등장한다.

“누구든 억울한 일이 있으면 왕궁 앞의 종을 치라. 그러면 왕이 직접 나와 이야기를 들어줄 것이다.”

이는 현대식으로 보면 민원제도 또는 왕의 직접 소통 체계라 볼 수 있다.

  • 법률이나 문서에 의존한 고압적 통치가 아닌, 직접적 소통과 조정 기반의 통치
  • 백성과 왕 사이의 거리감이 적고, 왕이 책임 있는 해결자로 인식됨

이는 단순한 상징이 아니라, 실제 수코타이 시대의 합의 중심 사회 구조를 반영한다.


3. 공동체 중심의 사회 구조

라마캄행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사회 분위기가 반복적으로 묘사된다.

  • “서로를 도우며 살아간다”,
  • “이웃이 굶으면 쌀을 나눈다”,
  • “공동으로 절을 세우고 불상을 만든다”

이러한 기록은 수코타이가 개인주의보다는 공동체 중심 가치를 중요하게 여겼다는 점을 보여준다.

  • 절이나 사원을 공동체 단위로 건립
  • 주민 스스로 자율적인 규칙을 세우고, 마을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
  • 사회적 안정정치적 합의가 동시에 유지됨

현대적 시각에서 보면, 이는 자율적 마을 자치제도의 기원이라 해석할 수 있다.


4. 왕의 존재와 역할

라마캄행 대왕은 비문 전체에서 강압적 권력자라기보다, ‘아버지’ 같은 보호자로 묘사된다.

  • 통치자는 법보다 **덕과 예(禮)**로 다스리는 존재
  • 비문 전반에 “왕이 백성을 사랑하고, 백성은 왕을 믿는다”는 문장이 반복됨
  • 왕은 백성을 위해 물자 배분, 분쟁 조정, 사원 건립, 교육 지원 등 폭넓은 역할 수행

이러한 정치는 동남아시아 고대 국가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신뢰 기반의 체계로 평가된다.


5. 비문이 보여주는 태국 정치문화의 원형

라마캄행 비문은 단지 역사적 사실을 넘어,
오늘날 태국 정치문화에까지 영향을 준 정신적 기초를 제공한다.

  • “왕은 백성과 가까워야 한다” → 국민과 군주의 심리적 유대 전통
  • “민간의 자유와 자율을 보장한다” → 경제적 자유와 개인 권리의 뿌리
  • “공동체의 안정이 국가의 기반이다” → 공동체 중심 행정 체계

이처럼 수코타이 시대의 사회제도는 후대 태국 정치 구조와 문화 형성의 중요한 틀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