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코타이 시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

2025. 7. 13. 21:04# 태국의 역사/- 수코타이 왕국

문헌 속 여성 역할과 사회문화적 위치


수코타이 여성의 사회적 지위

요약

수코타이 왕국은 정치와 종교, 문화에서 활발한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사회적 역할도 비교적 분명하게 나타난 시기다.
비문과 문헌, 유적 등을 통해 우리는 이 시기 여성들이 가정, 경제, 종교, 정치의 다양한 영역에서 의미 있는 존재로 기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늘날 태국 사회에서 여성의 상대적으로 높은 사회 참여와 자립성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를 설명해준다.


1. 문헌 속 여성의 흔적

수코타이 시대의 대표적 사료인 라마캄행 비문과 그 외 지역 문헌들에서,
직접적으로 여성의 이름이 언급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여성의 역할과 지위는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 비문에서는 "백성들이 자유롭게 부인과 장을 보러 간다"는 구절 등장
  • 이는 여성이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음을 시사
  • 여성들이 사찰을 방문하고 승려에게 보시하는 모습도 언급됨

이처럼, 수코타이 시대 여성은 단지 가정 내 존재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존재로 기능하고 있었다.


2. 여성의 경제 활동

수코타이 여성은 시장, 교역, 수공업 등 다양한 경제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 지역 시장은 여성들이 운영하거나, 주도적으로 참여한 사례가 많았음
  • 도자기 제작, 염색, 직조 등 여성 장인이 일부 존재
  • 귀족 여성들은 토지를 소유하고, 하인을 거느린 경제 주체이기도 함

특히 시장 문화는 태국 경제 전통에서 여성 주도성이 강한 대표 분야인데,
그 기원이 수코타이 시대부터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3. 종교와 여성의 참여

상좌부 불교는 여성의 출가를 제한했지만, 불교 신앙 활동에는 적극 참여가 가능했다.

  • 사찰에서 여성들은 보시, 행사 준비, 불상 관리, 청소 등 다양한 활동 수행
  • 일부 부유한 여성은 사찰 건립이나 불상 제작 후원자로도 등장
  • 여성은 자녀의 출가나 불교 교육에도 적극적 역할 수행

이러한 전통은 태국 불교 문화에서 여성 신자의 역할이 큰 이유로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4. 귀족 여성과 정치적 영향력

비록 수코타이 시대의 왕비나 공주에 대한 기록은 적지만,
아유타야 시기 이후 남아 있는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귀족 여성은 왕권 계승, 외교 혼인, 왕실 의례 등에서 실질적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

  • 수코타이의 왕실은 모계 성씨 기록이 일부 존재 (후대 계보를 통해 확인됨)
  • 왕실 의례에 여성들이 필수적으로 참여했음
  • 후계자 교육이나 지방 파견 통치의 조력자로 기능

이처럼 귀족 여성은 단지 '왕비'가 아니라,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존재였다.


5. 일상생활에서의 여성 지위

일반 여성들의 삶은 가사, 자녀 양육에 집중되었지만,
남성과의 상호 협력 관계로 인식되었고, 일정한 사회적 권리도 보장받았다.

  • 이혼이 가능했고, 여성도 토지나 물건을 소유할 수 있었음
  • 형제 자매 간 상속 분배 시 여성의 몫도 인정됨
  • 혼인 후에도 여성의 친가와 관계가 유지됨 (부분적 외가 중심 사회)

이는 태국 사회 전통의 ‘상대적 성평등 문화’의 기원으로 주목받는다.


6. 현대 태국과의 연결

오늘날 태국은 동남아시아에서 여성의 경제·사회 참여율이 높은 나라 중 하나다.
그 뿌리는 수코타이 시기부터 이어져 온 시장 주도성, 가정 내 권리 인정, 신앙 참여 중심 문화에서 기인한다.

  • 여성 정치인, 여성 CEO, 여성 승무원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
  • 가정 경제를 여성 주도로 운영하는 문화
  • 사원, 절, 교육기관에서 여성 자원봉사자 비중이 압도적

이러한 점에서 수코타이는 태국 여성 지위의 출발점으로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