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마트·시장 가격 비교 – 외국인이 자주 찾는 장보기 코스 (2025년 기준)

2025. 7. 13. 12:30# 치앙마이 생활/- 학교입학 & 유학비자

안녕하세요. 저는 태국 치앙마이에서 자녀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한국인 보호자입니다. 태국에서 처음 생활을 시작하면 가장 많이 하게 되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장보러 어디 가야 할까?”, “물가는 어떤가요?”입니다. 이 글은 실제 생활을 기반으로, 외국인 보호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마트와 시장을 중심으로 2025년 현재의 가격대와 특징, 장보기 전략을 정리해 드립니다.


2025 태국 마트 시장

요약

태국 치앙마이에서 외국인이 장을 볼 수 있는 주요 장소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대형 마트(매크로, 빅씨, 롯데마트), 슈퍼마켓(림핑, 토핑, 리치몬드 등), 로컬 시장(깟산타이, 깟루암 등)**입니다. 각각의 장소는 판매 품목, 가격대, 접근성에 차이가 있으며, 외국인 가족 구성원 수와 식습관에 따라 장보기 장소를 적절히 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육류, 과일, 채소, 수입품, 유제품 등의 품목별로 가성비 좋은 구매처가 다릅니다.


1. 대형 도매 마트 – Makro(매크로)

매크로는 도매형 할인 매장으로, 외국인 거주자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장보기 장소 중 하나입니다. 대량 포장이 많고, 가격이 저렴하며 음식점 운영자들도 자주 이용합니다.

  • 위치: Hang Dong, San Sai, Chiang Mai Lamphun Road 등 주요 지역에 분포
  • 장점: 육류·해산물 가격 저렴, 대용량 포장 가능, 카드 결제 가능
  • 단점: 대량 구매 중심이라 1~2인 가족은 보관·소비 부담
  • 대표 품목 가격 (2025년 기준):
    • 돼지고기 앞다리살(1kg): 120~135바트
    • 닭가슴살(1kg): 85~95바트
    • 계란(30구): 115~130바트
    • 우유 1L: 50~55바트

팁: 육류·계란·우유는 매크로가 가장 경제적입니다. 다만 포장이 커서 냉장고 용량과 소비 속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2. 중형 슈퍼마켓 – Big C, Lotus’s, Tops 등

이마트와 비슷한 형태의 중형 마트로, 깔끔한 환경과 다양한 수입식품, 의류, 가전 등도 함께 취급합니다. 그랩으로 배달도 가능해 자차가 없는 가정도 자주 이용합니다.

  • Big C: 가족 단위 구매자 많고, 브랜드 제품 다수
  • Lotus’s (구 테스코): 중저가 중심, 자체 브랜드 다수
  • Tops: 수입식품 비중 높고 외국인에게 인기
  • 대표 품목 가격:
    • 쌀 5kg (타이쌀): 130~180바트
    • 바나나 1kg: 25~35바트
    • 두유 6팩: 70~85바트
    • 즉석카레/햄버거패티류: 60~100바트
    • 유아 기저귀 (M사이즈 50매): 350~500바트

팁: 식료품과 생필품을 한 번에 구입하기 좋고, 포인트 적립과 앱 할인 쿠폰도 자주 제공됩니다.


3. 프리미엄 슈퍼 – Rimping, Kad Farang Village 내 마트

치앙마이의 중산층·외국인 밀집 지역에 있는 고급 슈퍼마켓입니다. 유기농 채소, 유럽 수입 치즈, 글루텐프리 식품, 일본 제품 등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습니다.

  • Rimping: 가장 유명한 프리미엄 슈퍼, 외국인 전용품 많음
  • Tops Premium: 쇼핑몰 내 입점, 가격대는 높은 편
  • 대표 품목 가격:
    • 블루베리(125g): 120~150바트
    • 유기농 브로콜리(1kg): 150~200바트
    • 수입 치즈(200g): 250~400바트
    • 일본 간장(500ml): 120~180바트

팁: 특정 식단(예: 무글루텐, 채식, 키토식)이나 수입 간식류를 찾는다면 림핑이 최고의 선택입니다.


4. 로컬 시장 – Tha Pae, Ton Payom, Ruamchok, Nong Hoi 등

가장 저렴하고 생동감 있는 장보기 장소입니다. 매일 아침 신선한 채소, 과일, 생선, 반찬류가 거래되며, 태국인들 일상 소비처입니다.

  • 장점: 가격 저렴, 소량 구매 가능, 다양한 종류
  • 단점: 현금 거래만 가능, 위생상태 편차 큼
  • 대표 품목 가격:
    • 채소 (청경채, 공심채 등 1묶음): 10~15바트
    • 망고 1kg: 40~60바트
    • 생선(민물): 1마리 약 50~90바트
    • 조리된 반찬 1팩: 25~40바트

팁: 아침 일찍 방문하면 신선한 상품을 고를 수 있으며, 흥정보다는 정찰제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위생 상태는 점포마다 다르므로 단골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5. 장보기 전략과 한국 식재료 구매 팁

태국에서도 김치, 고추장, 된장, 쌈채소 등 한국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 마트보다는 전문점이나 온라인몰 이용이 효율적입니다.

  • 한국마트: Korea Mart, Kim's Mart, Mama Mart 등
  • 수입품 전문몰: Shopee, Lazada에서 배달 가능
  • 가격 예시:
    • 고추장(500g): 150~180바트
    • 김치(1kg): 150~250바트
    • 김(10매): 70~90바트
    • 된장(500g): 120~160바트

팁: 정기적으로 치앙마이 내 한국마트를 돌아보며, 할인 시즌을 파악해두면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국제학교 근처에서는 한국 식자재 소형점포가 있기도 합니다.


마무리 조언

치앙마이에서의 장보기는 조금만 익숙해지면 오히려 한국보다 신선하고 저렴한 식재료를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가족 수, 조리 방식, 자주 먹는 음식에 따라 마트와 시장을 병행해서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처음에는 몇 군데씩 다녀보며 자신에게 맞는 루틴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육류·계란은 매크로, 과일·채소는 로컬시장, 수입식품은 림핑과 한국마트처럼 품목별 분리 전략을 활용하면 비용 절감과 품질 확보를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치앙마이 생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주요 키워드

치앙마이 마트 가격, 태국 시장 물가, 매크로 장보기, 림핑 슈퍼, 한국 식자재, 치앙마이 생활비, 태국 물가정보